2024.06.02 (일)

  • 흐림속초14.1℃
  • 구름조금17.6℃
  • 구름조금철원16.4℃
  • 구름많음동두천17.6℃
  • 맑음파주14.8℃
  • 흐림대관령10.0℃
  • 구름조금춘천17.7℃
  • 맑음백령도15.5℃
  • 비북강릉14.1℃
  • 흐림강릉15.2℃
  • 흐림동해14.7℃
  • 맑음서울18.7℃
  • 맑음인천17.8℃
  • 구름조금원주18.0℃
  • 흐림울릉도14.8℃
  • 맑음수원15.1℃
  • 구름많음영월15.9℃
  • 구름조금충주17.7℃
  • 맑음서산15.1℃
  • 흐림울진15.3℃
  • 맑음청주18.1℃
  • 맑음대전16.9℃
  • 맑음추풍령16.7℃
  • 구름조금안동15.8℃
  • 맑음상주18.2℃
  • 흐림포항17.2℃
  • 맑음군산15.8℃
  • 구름많음대구17.4℃
  • 박무전주16.4℃
  • 구름많음울산16.8℃
  • 맑음창원17.9℃
  • 구름조금광주16.9℃
  • 구름많음부산18.0℃
  • 맑음통영17.9℃
  • 맑음목포17.4℃
  • 맑음여수19.2℃
  • 구름많음흑산도16.4℃
  • 구름많음완도17.1℃
  • 구름조금고창16.7℃
  • 구름조금순천15.5℃
  • 맑음홍성(예)16.4℃
  • 맑음15.1℃
  • 구름많음제주18.0℃
  • 구름많음고산17.2℃
  • 구름많음성산18.1℃
  • 구름많음서귀포19.8℃
  • 구름조금진주16.6℃
  • 맑음강화15.2℃
  • 구름많음양평18.5℃
  • 구름조금이천16.9℃
  • 구름많음인제13.6℃
  • 구름조금홍천16.4℃
  • 구름조금태백11.2℃
  • 구름많음정선군13.9℃
  • 구름조금제천14.6℃
  • 맑음보은14.3℃
  • 맑음천안16.7℃
  • 맑음보령14.1℃
  • 맑음부여15.1℃
  • 맑음금산15.8℃
  • 맑음15.1℃
  • 맑음부안16.2℃
  • 맑음임실14.7℃
  • 맑음정읍14.8℃
  • 맑음남원14.2℃
  • 맑음장수11.6℃
  • 구름조금고창군16.6℃
  • 구름조금영광군16.2℃
  • 구름많음김해시18.4℃
  • 맑음순창군14.5℃
  • 구름조금북창원19.3℃
  • 구름많음양산시19.3℃
  • 맑음보성군17.3℃
  • 맑음강진군17.2℃
  • 맑음장흥16.7℃
  • 구름조금해남17.2℃
  • 맑음고흥16.2℃
  • 구름많음의령군16.8℃
  • 맑음함양군
  • 맑음광양시18.0℃
  • 구름많음진도군17.7℃
  • 맑음봉화14.4℃
  • 구름조금영주15.1℃
  • 구름조금문경16.8℃
  • 구름조금청송군13.9℃
  • 구름많음영덕15.3℃
  • 맑음의성15.4℃
  • 구름많음구미18.3℃
  • 맑음영천16.4℃
  • 구름많음경주시16.9℃
  • 맑음거창13.8℃
  • 구름많음합천19.9℃
  • 맑음밀양19.0℃
  • 구름조금산청18.2℃
  • 구름조금거제18.4℃
  • 맑음남해17.7℃
  • 구름많음18.8℃
기상청 제공
[우외호 칼럼] 팔자는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외호 칼럼] 팔자는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우외호.jpg
우외호 논설위원

하얗게 피어오르는 달무리가 별빛조차 삼켜버린 시간이다. 

 


주어진 환경에 맞춰 살려면 마음도 시간도 옭매인다. 하지만 새벽이 주는 신선함을 맛보며 차 한 잔의 여유를 느껴본다. 푸르게 변해가는 이름 알 수 없는 마음의 금강산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강한 생명력을 느끼곤 한다. 

 


삶에 지쳐있기 때문일까? 제약된 일상생활에서 타율성에 길들어진 어느 사람은 아침부터 한숨을 내쉬거나 말을 함부로 하면서 팔자타령을 한다. 그의 말에 공감하다 보면 함께 우울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부정적인 말은 전념성이 강하기 때문에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운명이 정해진다. 그래서 필자 또한 공직생활을 끝내고 주식을 하다 큰 손실을 보고 어려움에 처했다. 또한 문단에 등단 후 수필가가 됐다. 이러한 운명을 가지고 태어났다면 과연 그 말을 믿어야 되는 것일까? 물론 논리적으로 인생의 여정을 놓고 그게 당신의 운명이고, 당신 인생에는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팔자가 있다는 이유를 갖다 붙인다면 세상 어느 누구 한사람 그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러한 논리들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의 억지 논리이다. 팔자타령하는 그 밑바탕에는 스스로 이겨내지 못한 나약함과 자포자기의 의식이 존재했기 때문에 운명의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다. 젊은 시절에는 그렇지 않던 사람도 나이를 먹으면 대체로 운명론자가 돼가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것은 인생길을 걸어가는 동안 어느 정도 세상과 타협하게 됐다는 증거이다. 

 


젊은이들이 북적거리는 거리에 사주카페가 성업 중이다. 신문을 펼치면 오늘의 운세, 재복을 부르는 신통대가, 숙명과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광고가 지면을 메운다. 거금을 들여 지속적으로 광고를 싣는 것을 보면 운명론을 믿는 수요가 꽤 있다는 뜻이다. 첨단과학시대라고 하는 21세기에 어찌해 젊은이들이 그런 곳에 드나들며 운명에 매달리는지 알 수 없지만 그 돈으로 삶의 길과 지혜를 제시해주는 책이라도 한 권 사 보는 게 좋을 텐데 말이다.  

 


무엇이 불안하고 두려운 것인가. 

 


누가 자신의 일을 방해하고 있다고 믿는 걸까? 활화산처럼 폭발하는 에너지와 원대한 꿈을 가진 젊은이들의 특권을 헌신짝처럼 버렸다는 것인가.   

 


사주는 관상에 못 미치고 관상은 심상에 못 미친다는 말이 있다. 성격이 팔자를 만든다는 말과 맞닿는다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흔히 자신이 겪은 불행 또는 실패의 원인을 주변 환경에 둔다. 그러나 모든 것은 자신으로 인해 일어난 일이요 스스로 풀어가야 할 숙제이다.    

 


모험을 피하려고만 하는 사람에게 기회조차 없으니 비전이 있을 수 없다. 저마다 관점이 다르겠지만 운명론을 맹신할 이유 또한 없다. 인류 역사를 뒤돌아보면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기대치 이상의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 많다. 개인이든 단체이든 이런 사람들의 공헌으로 지금의 세상은 유지되고 있다. 개 팔자가 상팔자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놀고 있는 개가 부럽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 팔자 따위에 연연치 않고 살아가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기 때문이 아닐까? 

 


농담 섞인 소리로 "팔자는 독에 들어가서도 못 피한다" 고 한다. 이리저리 도망 다닌다고 해서 정해진 팔자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고 울타리를 쳐버린 것이다. 

 


운명을 마음대로 가늠해도 될는지? 열정을 다해 극복하려는 의지는 없고 왜 무작정 자신을 어리석은 굴레 속으로 넣는 것일까? 운명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태어나 자아를 어떻게 쌓아 가느냐에 따라 각자의 미래가 달라지는 것일 뿐이다. 이제라도 부정적인 사고의 옷을 벗고 긍정적인 사고의 신발을 신고 힘차게 뛰어야한다. 

 


팔자타령 노래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 한 수를 읊어보았다. 

 


경험하지 못한 일에 강렬한 욕구가 있다면/팔자타령 하지 말고 과감하게 도전하라/가장 큰 실패의 원인은/자신을 시험해 보지도 않고/ 지레 겁을 먹고 포기하는 것이다/신념은 바위를 뚫는 다는 격언처럼/할 수 있다는 용기만으로/희망의 불빛이 자신을 인도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팔자는 없다. "꿈도 꾸지 말라", "꿈도 야무지다", "꿈같은 소리를 하네", "제발 좀 꿈에서 깨어나라" 고 하는 말들은 꿈을 가볍게 여기며 꿈의 가치를 애써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귀담아들을 이유가 없다. 

 


꿈을 갖는다는 것은 미래를 품는다는 뜻이다.  미래를 가슴에 담고 산다는 것은 현실의 의미를 날마다 해석하고 그 삶을 목적에 맞춰서 조정하며 산다는 뜻이다. "꿈이 없는 사람은 꿈꾸는 자의 희생자"라고 한 어느 사상가의 말을 새겨보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