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속초12.0℃
  • 비12.3℃
  • 흐림철원10.9℃
  • 흐림동두천12.8℃
  • 흐림파주13.1℃
  • 흐림대관령6.8℃
  • 흐림춘천12.2℃
  • 비백령도11.2℃
  • 흐림북강릉12.2℃
  • 흐림강릉13.3℃
  • 흐림동해13.0℃
  • 비서울15.4℃
  • 비인천13.4℃
  • 흐림원주15.6℃
  • 비울릉도10.1℃
  • 비수원12.4℃
  • 흐림영월13.0℃
  • 흐림충주14.7℃
  • 흐림서산12.8℃
  • 흐림울진11.3℃
  • 흐림청주17.1℃
  • 흐림대전15.6℃
  • 흐림추풍령11.8℃
  • 비안동11.5℃
  • 흐림상주12.8℃
  • 비포항12.1℃
  • 흐림군산13.4℃
  • 비대구11.2℃
  • 흐림전주13.8℃
  • 비울산10.9℃
  • 흐림창원12.8℃
  • 비광주13.7℃
  • 비부산12.4℃
  • 흐림통영12.8℃
  • 비목포13.3℃
  • 비여수14.4℃
  • 구름많음흑산도12.7℃
  • 흐림완도13.6℃
  • 흐림고창12.9℃
  • 흐림순천12.6℃
  • 비홍성(예)13.1℃
  • 흐림15.6℃
  • 흐림제주15.1℃
  • 흐림고산14.6℃
  • 구름많음성산15.2℃
  • 비서귀포15.3℃
  • 흐림진주13.1℃
  • 흐림강화13.6℃
  • 흐림양평15.3℃
  • 흐림이천14.6℃
  • 흐림인제11.0℃
  • 흐림홍천12.0℃
  • 흐림태백7.7℃
  • 흐림정선군10.7℃
  • 흐림제천12.3℃
  • 흐림보은14.0℃
  • 흐림천안14.3℃
  • 흐림보령12.9℃
  • 흐림부여13.9℃
  • 흐림금산14.6℃
  • 흐림16.5℃
  • 흐림부안13.6℃
  • 흐림임실13.3℃
  • 흐림정읍13.1℃
  • 흐림남원13.8℃
  • 흐림장수11.9℃
  • 흐림고창군13.0℃
  • 흐림영광군13.0℃
  • 흐림김해시12.4℃
  • 흐림순창군14.0℃
  • 흐림북창원13.0℃
  • 흐림양산시12.7℃
  • 흐림보성군13.7℃
  • 흐림강진군13.7℃
  • 흐림장흥13.2℃
  • 흐림해남13.4℃
  • 흐림고흥13.6℃
  • 흐림의령군13.2℃
  • 흐림함양군12.6℃
  • 흐림광양시13.4℃
  • 구름많음진도군13.7℃
  • 흐림봉화10.8℃
  • 흐림영주11.2℃
  • 흐림문경12.8℃
  • 흐림청송군9.7℃
  • 흐림영덕10.8℃
  • 흐림의성11.6℃
  • 흐림구미13.0℃
  • 흐림영천11.1℃
  • 흐림경주시11.0℃
  • 흐림거창11.6℃
  • 흐림합천12.9℃
  • 흐림밀양12.7℃
  • 흐림산청12.4℃
  • 구름많음거제12.8℃
  • 흐림남해13.6℃
  • 흐림13.1℃
기상청 제공
[권우상 칼럼] 단추 하나 때문에 참패한 나폴레옹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우상 칼럼] 단추 하나 때문에 참패한 나폴레옹

권우상1.jpg
권우상 명리학자 / 역사소설가

나폴레옹 군대는 가장 막강했던 1812년 6월에는 병력수가 60만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막강한 군대가 그해 12월에는 1만명 이만으로 대폭 줄었다. 나폴레옹은 빨리 군대를 재건하고 불안정한 수도의 정세를 완화시키기 위해 근위대를 뒤따라 오게 하고 일부 측근들만 대동하여 전선에서 출발, 파리로 향했다. 

 

총지휘권은 뮈라에게 인계했는데 나폴리 왕이기도 했던 뮈라는 빌뉴스를 포기하고 남은 군대와 함께 얼어붙은 네만 강을 건너 바르샤바로 후퇴한 후, 자신의 부재로 인해 왕국 내에서의 입지가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외젠 드 보아르네에게 총지휘권을 넘겨주고 나폴리로 떠났다. 

 

남아 있는 병사는 원정 직전과 비교하면 얼마 되지 않아 네만 강 서쪽에 도착한 때에는 나폴레옹 병력은 겨우 5천여 명만이 싸울 수 있는 상태였다. 마크도날이 이끄는 라트비아의 나폴레옹군은 그해 12월 20일 철수를 시작했다. 

 

나폴레옹의 남은 병력은 누더기 같은 군복을 걸치고 서(西)러시아 보리소프 인근의 베레지나 강을 건너 모스코바로부터 멀어지는 길고 긴 퇴각 길에 올랐다. 

 

그런데 이때 러시아군의 기습공격을 받아 생존한 병사들은 굶주림, 질병, 부상 등의 와중에 다시 복병을 만나 죽을 운명이었다. 러시아의 매서운 혹한 때문이었다. 러시아의 매서운 겨울추위를 견디기에는 군복과 장비가 형편 없었던 것이다.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나폴레옹군의 퇴각은 유럽 지도를 크게 바꾸어 좋았다. 1812년에 러시아 인구의 90%는 농노였고, 농노(農奴)는 지주에게 권한이 있어 지주(地主)의 마음대로 매매할 수도 있었다. 

 

러시아인의 농노는 서유럽 농노와 달리 노예와 같은 신분제도에 묶여 있었다. 나폴레옹군이 지나간 자리에는 프랑스혁명(1789년∼1799년)의 원칙 전 이상에 젖어 중세의 유럽 사회제도를 타파하고 정치체계를 바꾸고 민족주의를 추종했다. 

 

지역마다 달라 혼란스러웠던 법규나 제도 대신 통일된 민주 정부들과 법전들이 등장했고, 개인이나 가정 또는 재산권에 대한 새로운 개념들이 도입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십진법 체계로 정비된 도량형이다. 이는 지역마다 수백가지의 도량형을 대신하는 표준이 되었다. 

 

그렇다면 러시아 전투에서 무엇이 이토록 60만 대군의 나폴레옹군을 몰락시겼을까? 왜 나폴레옹 군대가 연정연승(連戰連勝) 하고도 오로지 러시아 전투에서는 패배를 했을까? 제이 버레슨은 자신의 저서에서 나폴레옹 군대가 러시아 전투에서 패배한 이유를 영국 옛날 자장가인 「못 하나 빠져 편자를 잃고, 편자가 없어 말을 잃고, 말이 없어 기수(騎手)를 잃고, 기수가 없어 전쟁에 지고, 못 하나 때문에 모든 것을 잃고」에서 「단추하나 때문에 모든 것을 잃고」라고 바꾸어서 표현했다. 

 

나폴레옹 군대는 단추와 같은 매우 사소한 것 때문에 패전했다는 설명이다. 여기서 말하는 단추는 나폴레옹군 장교들의 외투를 비롯하여 보병들의 바지와 재킷을 채우는 데 쓰였던 주석(tin) 단추를 말한다. 

 

광택을 띤 금속성의 주석은 기온이 떨어지면 푸석푸석한 비금속성 흰색 가루로 변하는데, 변해도 주석은 주석이다. 단지 구조적인 형태만 다를뿐이다. 

 

나폴레옹 군대의 주석 단추도 푸석푸석 하게 되면서 마치 여성 망토와 오래된 카펫조각이나 구멍이 숭숭나 있고 줄에 탄 외투를 덮어쓰고 있어 꼭 유령과 같았다고 한다. 

 

주석으로 된 여러개의 군복 단추가 모두 떨어져 나가면서 러시아의 매서운 추위에 노출된 나폴레옹 군대는 전투할 수 있는 기능은 상실해 지고, 군복 단추가 떨어져 나가면서 나폴레옹 병사들은 무기를 잡아야 할 손이 옷을 여미는데 사용했을 것이라는 것이 제이 브레슨의 주장이다. 

 

이를 입증하자면 주석에 대한 화학적 실험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화학자들은 나폴레옹이 패배한 화학적(주석) 근거로 이 주석의 가설을 인용하면서 만약 주석이 겨울 추위에 변질되지 않았다면 나폴레옹은 계속해서 모스코바로 진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눈 앞에 곧 정복할 수 있는 서유럽과 동유럽을 단지 군복 단추 하나 때문에 러시아전에서 50만 대군을 잃고 패배했다는 것은 나폴레옹으로써는 억울하고 원통하기 짝이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것도 하늘이 결정하는 운명이라면 어찌하겠는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