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속초12.3℃
  • 흐림14.5℃
  • 흐림철원13.3℃
  • 흐림동두천14.1℃
  • 흐림파주14.1℃
  • 흐림대관령8.1℃
  • 흐림춘천14.3℃
  • 흐림백령도13.9℃
  • 흐림북강릉13.1℃
  • 흐림강릉13.7℃
  • 흐림동해14.2℃
  • 연무서울16.6℃
  • 비인천15.5℃
  • 흐림원주15.6℃
  • 황사울릉도13.0℃
  • 비수원15.6℃
  • 흐림영월12.5℃
  • 흐림충주14.1℃
  • 흐림서산14.0℃
  • 흐림울진14.2℃
  • 비청주15.3℃
  • 비대전13.9℃
  • 흐림추풍령15.7℃
  • 흐림안동15.3℃
  • 흐림상주14.6℃
  • 흐림포항15.4℃
  • 흐림군산12.6℃
  • 흐림대구16.6℃
  • 비전주14.7℃
  • 황사울산16.4℃
  • 흐림창원16.6℃
  • 비광주12.8℃
  • 흐림부산16.8℃
  • 흐림통영15.9℃
  • 비목포14.3℃
  • 비여수15.7℃
  • 비흑산도13.7℃
  • 흐림완도14.8℃
  • 흐림고창12.2℃
  • 흐림순천11.6℃
  • 비홍성(예)13.5℃
  • 흐림13.2℃
  • 비제주18.3℃
  • 흐림고산15.0℃
  • 흐림성산15.5℃
  • 비서귀포15.4℃
  • 흐림진주14.3℃
  • 흐림강화14.6℃
  • 흐림양평15.1℃
  • 흐림이천14.1℃
  • 흐림인제13.2℃
  • 흐림홍천14.6℃
  • 흐림태백10.0℃
  • 흐림정선군13.5℃
  • 흐림제천13.7℃
  • 흐림보은14.2℃
  • 흐림천안14.4℃
  • 흐림보령14.5℃
  • 흐림부여13.5℃
  • 흐림금산14.4℃
  • 흐림13.1℃
  • 흐림부안13.9℃
  • 흐림임실12.7℃
  • 흐림정읍13.3℃
  • 흐림남원13.0℃
  • 흐림장수13.3℃
  • 흐림고창군12.6℃
  • 흐림영광군12.3℃
  • 흐림김해시16.6℃
  • 흐림순창군12.2℃
  • 흐림북창원17.1℃
  • 흐림양산시18.2℃
  • 흐림보성군14.5℃
  • 흐림강진군15.5℃
  • 흐림장흥15.4℃
  • 흐림해남15.2℃
  • 흐림고흥15.7℃
  • 흐림의령군15.2℃
  • 흐림함양군13.6℃
  • 흐림광양시13.8℃
  • 흐림진도군14.6℃
  • 흐림봉화13.6℃
  • 흐림영주14.9℃
  • 흐림문경14.7℃
  • 흐림청송군13.8℃
  • 흐림영덕14.6℃
  • 흐림의성14.7℃
  • 흐림구미16.6℃
  • 흐림영천15.3℃
  • 흐림경주시15.6℃
  • 흐림거창13.0℃
  • 흐림합천14.8℃
  • 흐림밀양16.4℃
  • 흐림산청13.5℃
  • 흐림거제16.5℃
  • 흐림남해14.7℃
  • 흐림17.7℃
기상청 제공
[안태봉 칼럼] 마음밭을 일궈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태봉 칼럼] 마음밭을 일궈라

안태봉.jpg
안태봉 시인 / 부산사투리보존협회장

며칠 전 부산역 근처에 있는 지체부자유아원에서 활동하는 원생들을 위해 강의를 한 적이 있다.



비록 몸은 불편하고 말소리는 어눌했지만 경청하는 자세나 눈빛은 그 누구보다도 초롱초롱하게 다가왔다.



몸은 불편해도 마음은 어느 젊은이 못지않게 왕성한 필력을 자아내었다.



나는 그들에게 심전경작(心田耕作)을 강조했다. 즉, 마음밭을 일궈라는 주문이나 다름이 없었다.



논밭 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음밭을 가는 것이 너희들의 몫이라고 말하자 눈시울이 붉어지는 원생들도 있었다.



`바위`라는 시제를 내어 적어오라고 했는데 강아무개라는 젊은이의 시는 참으로 나에게 있어 시사해주는 것이 많았다. 마치 유치환 시인의 바위를 보듯 힘차게 다가왔다.



바위



우람하고 당당한 바위를 떠올린다/모양은 제각각/생긴 모습대로 살아온 힘

누구를 위함도 아닌데/항시 그 자리에서/지나는 구름이나/사람 그리고 동물을 보면서/아무런 생각없이/빈 하늘을 우러런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다녀도/말없이 앉아 있는 모습/내 안에서 살고 있다

바위/변하지 않아 그대가 좋다



그렇다. 마음의 밭을 갈면 모든 걸 즐길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된다. 자연을 사랑하고 또한 이를 아끼게 되고, 내 이웃을 항시 생각하게 되는 시간을 가진다.



사람은 무에서 유를 창조했고 항시 유기체적 입장에서 사물을 보게 된다.



옛말에 `낙이불음(樂而不淫) 즐기되 빠지지 말라`는 가르침은 언제 들어도 신선하게 다가온다.



몸이 자유스럽지 못하고 신체가 부자연스러워도 평범한 사람보다 더 노력하고 진솔한 면학의 분위기는 강사의 강의를 더 알차게 해주고 남음이 있다.



누구를 막론하고 과하면 피로해지기 쉽고 즐기다보면 쾌락의 나락에 빠져들고 음란해진다.



도박에 빠지면 그 도박에 도취돼 본전 생각때문에 그 늪을 헤어나오지 못한다.



그래서인지 어른들은 지족(知足)을 가르쳤다. 다시 말해 자기 생활에 만족할 줄 아는 정신과 함께 자신의 처지를 뒤돌아보는 계기를 삼아야 한다.



일찍 공자는 `지자요수(知者樂水) 인자요산(仁者樂山)`이라고 설파했다.



지혜 있는 사람은 물을 즐기고 어진 사람은 산을 즐긴다. 정말 맞는 말이다.



물은 융해돼 모든 걸 흡수해 항시 새로움을 나게 하고 산은 언제나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사람을 맞이하니 얼마나 좋은가.



산에 오르면 도심의 광경이나 아랫마을이 눈속으로 들어오고 넓은 바다 역시 변함없이 푸르름을 품고 있지 않은가.



지체부자유아의 바위라는 시에서 배우는 것이 많다. 산과 물은 항시 함께 함으로써 아름답게 세상을 만든다.



우리는 산에서 배우고 물에서 배운다. 그게 마음밭을 가꾸는 힘의 원천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